
최근 음주상태나 단순한 언쟁 중 경찰이나 공무원을 밀치거나 욕설하는 등의 행동이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순간적인 감정으로 그랬는데 초범인데도 실형을 받을 수 있나요?”라고 문의하십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공무집행방해 초범이라도 실형 가능성은 있습니다.
하지만 적극적인 반성, 피해 회복, 그리고 변호사의 조력을 통해 선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공무집행방해죄란 무엇인가요?
공무집행방해죄는 형법 제136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공무원을 폭행 또는 협박하여 직무집행을 방해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즉, 단순한 언쟁이 아니라 ‘직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을 폭행하거나 협박한 경우에 성립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피해자가 공무원임을 인식한 상태에서 폭행·협박이 이뤄졌는가, 그리고 직무가 적법하게 수행 중이었는가입니다.
따라서 이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공무집행방해죄가 아닌 단순 폭행죄로 다툴 여지도 있습니다.
⚖️ 공무집행방해 초범, 어떤 처벌을 받을까요?
초범이라 하더라도 공무집행방해죄는 법원이 매우 엄격하게 판단합니다.
특히 경찰, 검찰, 소방관 등 국가기관 소속 공무원에 대한 폭행은 공권력 침해 행위로 간주되어 실형 선고 비율이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사정이 있다면 벌금형 또는 집행유예로 선처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 피해 공무원과의 합의 또는 용서
✓ 진심 어린 반성문 제출 및 재범 방지 약속
✓ 범행 경위가 우발적이고 단기간인 점
✓ 주취 상태에서 한 일이라면 음주 치료나 상담 이수 등 개선 노력
법원은 단순히 초범 여부만이 아니라, 사건 경위와 태도, 피해 회복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 공무집행방해죄에서 실형을 피하기 위한 대응 전략은?
공무집행방해 초범이더라도 실형을 피하려면 다음 세 가지 대응이 중요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공무집행방해 초범인데 벌금형만 받을 수도 있나요?
A. 가능합니다. 폭행 정도가 경미하고, 피해자와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 벌금형으로 마무리된 사례도 있습니다.
Q2. 술에 취해 기억이 없는데도 처벌되나요?
A. 네. 음주 상태라도 책임이 면제되지 않으며, 오히려 주취 감형은 거의 인정되지 않습니다. 다만 음주 치료 프로그램 이수 등으로 반성의 진정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Q3.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조사를 받게 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변호인 입회하에 조사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기에 진술 방향을 잘못 잡으면 불리한 진술이 그대로 증거로 남을 수 있습니다.
🔎 결론: 초범이라도 안심은 금물, 빠른 법적 대응이 답입니다.
공무집행방해 초범이라 하더라도 실형이 선고되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사건 초기부터 변호인의 조력을 받아 합의, 반성, 사실관계 정리를 철저히 하면 집행유예나 벌금형 선처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특히 공무집행방해죄는 법리상 쟁점이 많고, 단순 폭행으로의 감경 여지가 있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초기 대응이 사건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법조 경력 10년 이상, 법무법인 에이앤랩은 365일 언제든지 상담 가능합니다.
문의: 02-538-0337